본문 바로가기
정보/기타

공무원 공문 작성 A to Z (5편)

by tree_s 2025. 5. 21.
반응형

📄 “제목부터 본문까지, 한눈에 정리!”
📌 공문서 형식 & 서식 작성 실무 가이드


✅ 1. 공문서, 이렇게 생겼습니다

공문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 체계’를 따릅니다. 문서의 품질은 형식에서 시작됩니다!

🔷 공문서 기본 구성 (대외문 기준)

항목                            설명                                                                             예시
문서번호 기관명 + 부서명 + 일련번호 환경부-자원정책과-2025-231
수신자 수신 기관 또는 담당자 직위 “○○시장 귀하”
제목 문서 내용 요약 (필수) “2025년 폐기물처리사업 추진계획 송부”
본문 목적, 배경, 내용, 요청사항 본문 예시는 아래 참조
붙임 관련 자료 계획서, 통계표 등
담당부서 연락처 포함 “환경부 자원정책과 김○○ 주무관 (☏044-123-4567)”
 

📝 2. 제목 쓰는 법, 이렇게 달라집니다

잘못된 예                                           좋은 예                                                                          이유
민원 회신 건 “○○ 민원 회신(2025.5.12. 접수분)” 날짜, 주제 명시
회의 결과 “○○사업 추진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 결과보고” 목적·내용 포함
요청사항 있음 “○○사업 관련 협조 요청” 상대방의 액션 명확히 유도
 

📌 제목은 문서의 “간판”입니다. 수신자가 단번에 이해하도록 목적 + 핵심 키워드를 담아야 합니다.


✍️ 3. 본문 작성 구조 (기본 템플릿)

공문 본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합니다:

① 인사말/배경 설명
② 주요 내용(사실/판단)
③ 요청 또는 협조사항
④ 마무리 문구

📌 예시:

1. 평소 우리 시정에 협조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 귀 기관에서 추진 중인 ○○사업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협조를 요청드립니다.  
   - ○○자료 제출 기한: 2025.6.10.까지  
   - 제출 방법: 이메일 또는 공문 회신  
3. 바쁘시더라도 기한 내 회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붙임: ○○사업 개요 1부. 끝.

🧾 4. 서식 작성 요령 – "국민이 읽고 쓰기 쉽게!"

『행정업무운영편람』은 서식 작성 시 “보기 쉬운 디자인”과 “쓰기 쉬운 구조”를 강조합니다.

항목                                        기준                                                                         개선 예
글자 크기 최소 11pt 이상 고령자용 서식: 13pt 이상
글자체 고딕체 권장 (맑은고딕) 장식체, 전서체는 지양
용어 쉬운 우리말 사용 “감면” → “비용을 줄여드림”
기재란 넉넉히 확보 주소/전화번호란은 칸을 충분히
 

📌 큰글자 서식(디지털 약자용) 기준도 별도 마련되어 있으니 민원 대상자에 따라 유연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 실무에서 자주 나오는 실수 TOP 5

실수                                                        왜 문제일까?                                                   해결책
제목이 불분명 문서 내용 파악 어려움 핵심 키워드 포함
붙임 누락 상대 기관 업무 누락 본문 내 “붙임 있음” 명시
전화번호 누락 회신·문의 지연 담당자 연락처 반드시 기재
한자어 과다 국민 이해도 저하 행정용어 순화어 활용
글자 너무 작음 고령자·약자 배려 부족 큰글자 서식 활용 고려
 

📚 참고자료

📄 『2020 행정업무운영편람』 제2장 공문서 작성 및 처리
📄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제5조~7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