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문2 공무원 공문 작성 A to Z (2편) 🖋 공문서, 어떻게 써야 잘 썼다고 할까?📌 “기본 원칙 + 문장 구성” 실무 적용편✅ 1. 공문서는 무조건 전자문서로!공문서 작성은 기본적으로 업무관리시스템이나 전자문서시스템을 통해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이것은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시행령」 제5조에 명시되어 있어요.처리 단계전자화 원칙 여부기안, 검토, 결재✅ 예등록, 시행, 보관✅ 예접수, 배부, 공람✅ 예 📌 실무 팁: 전자결재로 등록했는데도 종이로 출력해 재결재 요구하는 관행은 지양해야 합니다!🧭 2. 공문서 작성 5대 원칙공문은 다음 다섯 가지 원칙을 반드시 따라야 합니다. 이는 국민과의 소통을 위한 기본 매너이자, 법적 요건입니다.원칙설명① 어문규범 준수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등 지켜야 함② 한글 사용.. 2025. 5. 21. 공무원 공문 작성 A to Z (1편) 📌 기본부터 점검! "공문서란 무엇인가?"안녕하세요🙂오늘부터 총 5편에 걸쳐 공무원들이 공문서를 작성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이 시리즈는 『2020 행정업무운영편람』의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 공무원들이 "실제로 자주 실수하는 부분"과 "놓치기 쉬운 핵심"들을 콕 집어 안내드릴게요.✅ 1. 공문서의 개념, 명확히 알고 계신가요?공문서란 단순한 문서가 아닙니다.행정기관에서 “공무상” 작성하거나 시행하는 문서입니다. 전자문서도 당연히 포함됩니다.구분설명공문서행정기관에서 공무상 작성 또는 접수한 모든 문서 (전자문서 포함)사문서개인이 사적으로 작성한 문서 (단, 행정기관에 접수되면 공문서로 전환) 📌 예시O: 부서에서 작성한 회의결과 보고서, 외부기관에 보낸 협조 요청 공문X:.. 2025. 5. 21. 이전 1 다음 728x90